본문 바로가기
각종암관련이슈

뇌종양과 뇌암의 구분 및 뇌종양의 종류

by 수쌤엔젯 2023. 2. 11.
반응형

보통 성인의 뇌 무게는 대략 1.2kg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종종 컴퓨터에서 CPU가 하는 기능과 비유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중요한 기능만큼 구조적으로도 철저하게 보호되고 있는데, 우선 딱딱한 두개골로 외부로부터의 1차적인 충격을 보호하며 안쪽으로는 뇌막이 뇌를 둘러싸고 있고 이 뇌막 안으로 뇌척수액이 흐르며 완충 역할을 해주게 된다.

 

뇌종양 vs 뇌암

 

기본적으로 모든 종양을 ‘암’이라 부르지는 않고 ‘악성 종양’일 경우만 우리는 암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뇌의 경우에는 뇌에 악성종양이 생겼을 때 ‘뇌암’이라고 부르지 않고, ‘뇌종양’으로 표현한다. 결국 의미상으로는 악성뇌종양=뇌암=뇌종양 인 셈이다. 


뇌 자체에서 발생한 '원발성 뇌종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조직으로 전이가 잘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의 혈관에 '뇌혈관장벽(BBB)'이라는 게 있어서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뇌 조직으로 들어갈 때 유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데, 반대로 이 장벽으로 인해 뇌종양 세포가 혈관을 타고 다른 기관으로 쉽게 전이되지 않기 때문이다. 

 

원발성 vs 전이성 ?

 

의학 드라마에 나오는 용어.. 본태성,특발성, 속발성, 원발성, 전이성..

의학 드라마라 역시 기승전로맨스였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의학 드라마에서 현실감 넘치는 장면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드라마속에서 나오는 의학용어들은 한국어이지만 여전히 참

xiuinnz.tistory.com

 

☞ 전이성뇌종양


앞서 언급했던 ‘뇌혈관장벽(BBB)’으로 인해 암세포의 상호 이동이 어렵기는 하지만 원발성 뇌종양의 전의는 거의 불가능한 반면, 다른 조직의 암세포가 뇌로 전이되는 경우는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이성뇌종양은 유방암, 폐암, 대장암, 신장암, 전립선암, 그리고 흑색종, 임파종, 신경모세포종, 골원성 육종, 종양성 수막염, 백혈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뇌종양이 종류

 

▶ 침습 유무

 

  • 신경교종 – 주변 신경조직으로 침습
  • 비교종성 종양 – 단순한 뇌조직 압박


▶ 종양의 성장 속도

 

  • 양성 뇌종양 – 성장 속도가 느림, 수술보다 경과 관찰이 우선
  • 악성 뇌종양 – 성장 속도가 빠름, 빠른 치료 필요

 

▶ 종양의 구성 세포

 

  • 신경교종 – 신경교세포에서 기원, 교모세포종(가장 악성), 약 40% 
  • 뇌수막종 – 뇌막 가운데 지주막 세포에서 발생, 약 20%
  • 기타 – 신경초와 뇌하수체에서 발생

 

3d로본-뇌사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