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관련핫이슈208

유방 양성 질환.. 지나친 안심도 걱정도 금물 여성의 경우 건강검진 받을 때 가슴 엑스레이 촬영을 한 후 유방 주변에 혹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다행히 암은 아니고 양성 종양이라는 말은 듣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일단 종양이라는 말에 덜컥 겁이 나지만 의사들은 대부분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고 하며 다만 크기가 커지거나 모양이 변하면 제거해야 한다고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당사자의 경우 암이 아니라는 판정을 받더라도 어떻게 치료를 할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유방 양성 질환 유방 양성 질환은 현재 알려진 것만 50여종에 달한다. 그 가운데 30여종이 결절(딱딱한 혹)이나 낭종(물렁한 물혹) 등 종양의 형태를 보이며, 단순 염증성과 비증식증, 증식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유방 양성 질환의 위험요인도 결국 장기간 여성호르몬 노출, 늦은 출산, 짧은 .. 2023. 1. 17.
지속되는 딸꾹질.. 뇌졸중까지 의심? 누구나 한 번쯤 은 딸꾹질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딸꾹질은 횡격막에 갑작스러운 경련이 발생해 폐 속 공기가 빠져나가려는 순간 목구멍이 닫히며 ‘딸꾹’ 하는 소리가 나는 증상을 말한다. 보통 숨을 참거나 물을 마시면 멈추는데 잘 안될 때면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니다. 영어권에서는 딸꾹질을 hiccup 이라고 하는데 고대 그리스 의학자인 히포크라테스가 환자 치료법을 기록한 책 『히포크라테스 전집』에 딸꾹질이 소개될 정도다. 딸꾹질의 발생 원인 ● 잘못된 식습관 음식을 단시간에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빨리 먹을 경우 위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복부 상부에 있는 횡격막을 압박해 딸꾹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음식 섭취 후 곧바로 누울 경우 소화가 되지 않아 딸꾹질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으니 식사 후 바.. 2023. 1. 16.
봉와직염의 다른 이름 연조직염 연조직염은 피부 상처부위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진피와 피하조직에 나타나는 급성 세균 감염증을 말한다. 주로 다리에 잘 생기는데 무좀이 있을 경우 발가락 사이 환부를 통해 균이 들어가거나, 모기에 물린 자리를 손톱으로 긁다가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되기도 한다. 예전에는 염증의 모양이 벌집 모양이어서 양봉의 “봉”을 사용해 봉와직염으로 불렸으나, 의학용어의 우리말 개정작업시 연조직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 봉와직염(연조직염)의 증상 초기에는 붉은 홍반과 열감, 부종, 통증이 나타난다. 하지만 감염부위와 상관없는 두통, 식욕부진,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서 감기 몸살이 든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 이후 붉은 반점이 뚜렷해 지면서 주변부위로 퍼지고, 퍼진 부위가 살짝 부어 있는 형태를 보이다가 심한.. 2023. 1. 13.
하루 우유 섭취 권장량과 주의사항 성장기 어린이에게는 필수 영양소이지만 성인에겐 굳이 필요 없다는 인식이 강한 식품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우유다. 칼슘 함량이 풍부해 뼈 건강에 좋고 단백질 보충에도 탁월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만 및 성인병 유발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하루에 어느 정도를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 적당한가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있다. 대체로 전문가들은 성인 남성 기준 1일 400ml 이하, 성인 여성 기준 300ml 이하가 적당하며 성장기 어린이는 400ml가량 마셔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성인 기준 일일 권장량 200ml 정도만 마시는 게 좋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게 각기 다른 권장량이 나오게 된 이유는 우유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특징 때문이다. ▶ 우유를 둘러싼 여러 .. 2023.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