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1

국내 암 사망 원인 2위 간암..간 초음파 검사와 혈청알파태아단백(AFP) 검사 2017년부터 매년 2월 2일은 간암의 날이다. 2라는 숫자가 반복된 날을 정한 이유는 국내 암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하는 간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일년에 2번 2가지의 검사(간 초음파 검사와 혈청알파태아단백(AFP) 검사)를 받으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40세 이상이라면 6개월에 한 번은 검사 간을 표현할 때 보통 침묵의 장기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사실 거의 대부분의 장기가 침묵의 장기다. 주요 장기들이 작은 문제에도 여러 증상과 통증이 생긴다면 우리는 아마 평생을 병원에서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굳이 간이기 때문이 아니라 성별에 따라, 나이에 따라, 가족력에 따라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필요한 검사들을 정기적으로 받으면 암과 같은 큰 병을 막지는 못해도 초기에 발견하는 것.. 2023. 2. 3.
비만치료제의 역습, 세마글루타이드(오젬픽,위고비) 부작용 품절 대란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비만치료제 오젬픽과 위고비 등에 대한 부작용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최초 당뇨병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은 후 비만치료제로 적응증을 추가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약들에 대한 부작용으로 오심과 구토, 불안정한 심박동, 피부(얼굴) 조기 노화 등의 부작용이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세마글루타이드란? 세마글루타이드는 약물의 성분명으로 2017년 당뇨병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던 오젬픽과 2021년 6월 비만치료제로 적응증을 추가해 승인을 받은 위고비의 약물 성분명이다. 세마글루타이드는 위장관 호르몬 인크레틴을 자극하는 기전을 가진 약물이다. 인크레틴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생성을 촉진해 음식물이 장으로 나가는 속.. 2023. 2. 3.
거인증(말단비대증)으로 투병중이던 농구선수 김영희 별세 우리에게 84년 LA 올림픽 여자농구 은메달의 주역으로 기억되는 김영희 선수가 지난 달 1월 31일 59세의 이른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녀는 1987년부터 자신(김영희)을 괴롭히기 시작하던 소위 거인증으로 알려진 말단비대증을 시작으로 뇌종양, 갑상선 질환, 장폐색 등의 합병증으로 오랜 시간 투병 생활을 해야만 했다. 현역으로 뛰던 시절 '코끼리 센터'라는 별명으로 활약하던 김영희는 2m 가 넘는 장신센터로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과 1984년 LA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출전했으며, 체육훈장 백마장과 맹호장 등을 받았다. 한편 2월 1일 충북 청주에서 열린 여자프로농구 청주 KB와 부천 하나원큐의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고 김영희 선수를 기리기 위한 추모 묵념이 진행되었다. ▶ 말단비대증(거인증.. 2023. 2. 2.
가족이나 친구를 낯선 사람으로 착각하는 '카그라스 증후군' 세상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살면서 한 번도 들어보기 힘든 다양한 증후군들이 있다. 아주 오래전 한 50대 남성이 70대의 어머니를 흉기로 찔렀던 끔찍한 사건이 뉴스에 보도된 적이 있다. 흉기에 찔린 노모는 결국 숨지고 말았고, 경찰은 피의자인 50대 아들을 체포해 수사에 나섰다. 그 당시 경찰은 범행의 원인이 그가 앓고 있던 ‘카그라스 증후군’ 때문이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그렇게 잊혀 졌던 ‘카그라스 증후군’은 얼마전 방영된 KBS2 드라마 ‘두뇌 공조’에서 다시 등장했다. 드라마속에서는 카그라스 증후군을 앓고 있는 허범수가 아내를 가상 인간으로 착각해 사랑에 빠지고, 심지어 폭행, 감금까지 하는 모습을 보여 흥미를 끌었다. 카그라스 증후군 ▶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을 낯선 사람으로 착각 카그라스 증후군.. 2023.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