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관련핫이슈208

스마일마스크 증후군 vs 짐 캐리의 “예스 맨” 자신의 우울한 내면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싫어 늘 거짓 웃음으로 그것을 감추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늘 부정적이고 그러한 부정적 감정을 숨지기 못해 사람들과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스마일마스크 증후군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은 일본 나쓰메 마코토 교수가 처음으로 사용한 심리학적 의학 용어로, ‘가면 우울증’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로 서비스업이나 연예인 등과 같은 많은 사람들을 대해야 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본인 마음속 실제 감정과 상관없이 항상 밝게 웃고 있어야만 한다는 강박에 시달린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강박은 결국 신체적, 정신적 이상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스마일 마스크.. 2022. 7. 17.
‘우루O’ 의 주성분인 UDCA(우르데옥시콜산)과 비타민D 지금도 ‘우루O’의 광고에 곰이 등장하는지 모르겠지만, 어린 시절 TV광고 속 곰과 ‘피로엔 우루O’라는 광고 카피가 아직도 귓가에 맴돈다. 간은 각종 대사에 관여하며 영양소를 합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담즙 분비를 통해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재 다능한 간이라 하더라도 분주한 현대인들의 삶을 보자면 지치고 피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간 건강을 위해 출시되었던 대표적인 약이 ‘우루O’이고 주성분은 UDCA(우르데옥시콜산)이다. UDCA(우르데옥시콜산)의 기능 UDCA(우르데옥시콜산)은 담즙산 성분으로 3차 담즙산 분비를 촉진시켜 간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간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등 간 기능 개.. 2022. 7. 16.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 vs 파킨슨병 치매 주변에 치매 환자를 가족으로 둔 경우가 흔하다 보니, 치매 환자라는 말도 대수롭지 않게 사용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치매 자체는 질환명이 아니기 때문에 '치매 증상을 보이는 환자'라는 표현이 맞다. 게다가 치매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다양하다 보니 알츠하이머성 치매나 파킨슨병 치매 등 새로운 이름도 등장하게 되면서 치매 증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치매란? 우리가 '치매'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모습은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고, 조금 전에 한 행동들을 기억하지 못하며 때론 폭력적인 언어와 행동을 보이는 것 정도일 것이다. 이것을 조금 더 특징적인 면으로 나누어 보면, 인지장애, 기억장애, 성격변화, 행동장애 등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일상 생활.. 2022. 7. 15.
췌장암의 전 단계? 급성 췌장염 vs 만성 췌장염 췌장(또는,이자)은 내분비 기능과 외분비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다. 주변에 중요한 혈관이 자리하고 있는 췌장에 급성 또는 만성 염증이 생길 경우 신체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게다가 만성 염증의 경우는 췌장암 발병 위험이 무려 18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1. 췌장염의 발생 원인 알코올은 만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60%, 급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30~60%를 차지할 정도로 췌장염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알코올은 췌장액의 점성을 높여 췌관 막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세포가 직접적으로 손상을 받게 된다. 같은 기전으로 담석이 담관과 췌관을 막게 되는 경우에도 역류로 인해 췌장세포가 손상되며 췌장염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췌장염'도.. 2022. 7. 13.
반응형